기물 : 장기를 두는데 필요한 물건, 장기알을 말한다. 또는 장기말 이라고도 한다. 기보 : 장기를 둔 내용을 기록한 것. 행마 : 기물들이 제각기 가는 길을 말한다. 포진 : 대국이 시작되어 쌍방15수 이내의 대국수에서 자기 나름대로의 방어진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. 농포 : 자기의 포로 상대편 기물을 노리거나 동서남북 종횡무진으로 날아다니면서 포진을 교란시키는 것을 말한다. 연장군 : 연이어 장군을 부르는 수를 말한다. 또는 계속 장군을 부르는 것. 합솔 : 병졸을 띄어 놓지 않고 합쳐 놓는 것. 독병 : 병졸이 합졸 되지 않고 혼자 떨어져 있는 것. 면포 : 포가 중앙의 궁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. 면상 : 상가 중앙의 궁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. 멱 : 한 기물이 갈 곳에 다른 기물이 놓여 길 방해를 하는 지점을 말한다. 귀 : 궁성의 네 가장자리를 말한다. 빅수 : 장기를 둘 때 서로가 상대방의 말(알)을 잡지 못하거나 이길 수 없는 수. 장군 : 상대편의 궁을 잡겠다는 수. 항복 받겠다는 수. 멍군 : 장군을 받아 막는 수. 민궁 : 궁성에 사가(하나도) 없는 것을 말한다. 형태 : 장기판에 기물이 놓여 있는 상태. 모양이 좋은 것을 양형, 나쁜 모양을 우형이라 한다. 외통수 : 한편에서 부른 장군으로 상대편의 궁을 피할 수 없게 두는 수. 수순 : 상대편을 공격할 때나 수비를 할 때 제대로 맞게 두는 순서. 안궁 : 장기 둘 대 자기편 궁을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해두는 것. 묘구 : 불리하던 국면을 유리하게 바꾸거나 승부에 직결될 만큼 아주 절묘하게 둔 좋은 수. 일수불퇴 : 장기나 바둑을 둘대 일단 둔 수는 절대로 무를 수 없는 규칙. 양수겸장 : 장기에서 두 개의 기물이 동시에 장군이 되는 경우. *양수겸장일 때는 어느 한쪽 장군만 받는 게 아니고 둘 다 받아야 한다. 변 : 장기판에서 좌우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하며 우변과 좌변이라 부른다. ①포진 차림:장기를 두기 위하여 모든 기물(쌍방 16개)을 장기판 위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3가지의 차림이 존재한다. ①원앙마 차림(마상상마) ②귀마 차림(상마상마,마상마상) ③양귀마 차림(상마마상) 포진:판 차림을 한후 진형을 갖추기 위하여 쌍방 15수이내(합30수)에서 기물들을 전면에 배치 시키는 초반전 단계로 5가지의 포진 유형 존재한다.(면포4,면상1) (①귀마 포진②원앙마 포진③양귀마 포진④양기상 포진⑤명상 포진) 맞상 포진(면포):귀마 포진의 여러 유형 중에서 본인과 상대방의 상(象)이 대각선으로 마주 보는 형태의 초반 진형을 말하는 것으로 일명 "동네장기 포진"이라고도 불린다. 정형 포진(면포):귀마 진영에 있는 포가 아닌 귀마 반대변에 있는 포를 면포로 놓는 포진 유형으로 전문기사나 아마 유단자가 많이 애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포진. 변형 포진(면포):귀마 쪽에 있는 포를 면포로 놓는 포진 유형으로 아마추어가 많이 애용한다. 귀마 포진(면포):초반에 마 하나만을 궁성의 "귀"자리에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장기인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포진이다. 원앙마 포진(면포):궁성 앞 정면에 마가 진출하여 마끼리 서로 연결되어 원앙형태로 진형을 갖추는 포진으로 부부 금슬이 좋기로 유명한 원앙새를 비유하여 붙여진 이다. 양귀마 포진(면포):궁성 9자리 중 맨 윗부분 양 모서리 자리인 "귀"에 양마를 배치시킨 후정 중앙의 졸을 한 칸올려 진형을 갖추는 포진. 양귀상 포진(면포):양귀마와 비슷하게 궁성의 양쪽귀에 양상을 배치하는 포진으로 사용 빈도가 가장 적다. 면상 포진(면포):궁성 9자리 중 맨위 가운데 자리인 "면(面)"에 상을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양포의 활용을 통한 농포 공격이 이루어 진다. ②행마 양차 합세 전법:양차가 합세한 합동 공격으로 적진의 진영을 뚫거나 기물들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공격법. 가위다리차:양차가 서로 다른 선 위에 놓여 있으면서 상대의 기물이나 왕을 위협하는 형태. 면포:궁성의 면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. 귀포:궁성의 귀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. 중포:궁성에서 왕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형태. 하포(下包):궁성의 맨 아래 3군데 자리에 포를 배치시킨 행태. 농포(弄包):보통 초반전에 퍼의 좌우 이동을 통하여 상대 진영을 교란시키는포. 궁중포(宮中包):궁성의 정 중앙에 놓인 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나쁜 형태 중의 한가지이다.(왕이 앉았던 자리) 결마:궁성에서 처음 왕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마를 배치시킨 형태를 말하는데 견마라는 적절하지 못한 용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. 고등마(高登馬):궁성의 귀마가 정 중앙에 있는 졸 앞으로 진출한 형태를 말하는데 콧등마라는 틀린 용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. 긴상:장기판 중앙에서 상이움직일 수 있는 행마는 총 8곳인데 그 중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좌. 우 4가지 행마 형태를 말한다. 장기판이 가로가 세로보다 약간 길기 때문에 상이 옆으로 움직일 경우 길어 보이는 점으로 인해 붙여진이름이다. 바른상:긴상과 비교되는 행마로 상이 앞이나 뒤로 움직일 때의 4가지 행마형태. 졸과 병의 명칭:처음 판 차림 시 졸과 병이 고정된 위치에 놓일 때의 명칭은 맨 왼쪽에 있는 졸부터 다음과 같이 부른다. ①좌변졸②좌진졸③중앙졸④우진졸⑤우변졸 병도 마찬가지로 ①좌변병②좌진병③중앙병④우진병⑤우변병 합졸(合卒)또는 합병: 졸(병)을 서로 모여 합쳐 놓은 것으로 튼튼한 형태가 유지된다. 멱:장기 기물이 움직이는 길(길목)을 말하는데 보통 마와 상이라는 기물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곳에 장애물이 있어 가지 못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이동할 때 멱이라는 개념이 적용된다. 멱도 모르고 장기 둔다는 멱부지(멱不知)의 격언도 있다. ③공격과 방어 1.양걸이:어떤 기물이 움직이면서 상대편 2개의 기물을 동시에 공격하는 수법. 2.뜰장:앞에 있던 기물이 움직이면서 뒤에 있는 기물이 장군을 부르는 공격수. 3.묶어 두기: 하나의 기물로 상대편 여러 기물들을 동시에 묶어 두는 공격수법을 말하는데 보통 상대편 왕을 보호하거나 그 왕의 행로(다니는 길)에 어떤 기물이 놓여 있을 때 그 기물들을 묶어 두어 움직이지 못하게 방해를 하는 공격수. 그 상대편 기물이 움직이면 장군이 되어 상대편 왕이 죽게 된다. 상대의 공격으로부터 왕을 보호하기 위하여 궁성의 맨 아래 자리에 왕이 이동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궁 수비의 형태(가장 좋은 자리) 4.천궁(天宮): 궁성의 맨 윗자리로 왕이 움직여 궁수비하는 형태로 초반전에 의도적으로 천궁을 시도하여 농포 공격을 하거나 중반 이후에 장기가 불리해 왕이 어쩔 수 없이 천궁으로 피하는 2가지의 경우가 일반적이다.(가장 나쁜 자리) 5.대살(對殺):쌍방 기물들을 서로 교환하여 없애는 것으로 "대쇄"하고도 한다. 6.입궁(入宮):기물이 상대편 궁성에 침입하여 공격하는 형태. 7.낱장기: 조반전에 사령관격인 차가 죽고나서 기물이 몇 개 남지 않았을 경우 승패를 결정짓기 위한 기물의 정형화된 형태. |